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작가, 아픈 세상을 보듬다…“괜찮아, 엄마가 있잖아”

배우 겸 래퍼인 한인 아콰피나의 연기력과 존재감을 세상에 알렸던 영화 ‘페어웰’(2019)로 주목받았던 룰루 왕 감독 연출의 미니시리즈 ‘엑스팻츠’는 한인 소설가 재니스 리가 4명의 자녀를 기르면서 체험한 모성애를 바탕으로 5년에 걸쳐 집필한 소설 ‘The Expatriates’(2016)가 원작이다.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 또는 주재원을 뜻하는 ‘Expats’는 홍콩에 거주하는 3명의 미국 여성에 관한 6부작 드라마다.     역사의 전환점인 민주화 시위가 한창이던 2014년경의 홍콩. 아메리칸이라는 공통점을 제외하면 신분, 가정환경, 성장 배경, 경제적인 여건 등이 판이한 세 명의 여성이 우연히 만나 서로 교류하며 각자 삶에 영향을 미치면서 극적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그린다.     뉴욕 퀸스 출신의 한인 2세인 머시(유지영)는 컬럼비아대 출신임에도 임시직을 전전하다 새 출발을 다짐하며 홍콩으로 건너온 24살의 싱글 여성이다. 우아한 중년의 백인 여성 마거릿(니콜 키드먼)은 배려심 많은 한국인 남편과의 사이에 3명의 아이를 두고 있다. 마거릿의 이웃인 힐러리(사라유 블루)는 상속받은 유산으로 부를 누리고 있지만 아이를 낳지 못해 고여있는 결혼 생활을 하고 있다.     마거릿의 남편은 머시에게 육아 도우미를 부탁하고 머시는 힐러리의 남편과 관계를 맺는다. 그러던 중 마거릿의 막내아들이 실종된다. 마거릿 부부와 머시는 일생일대의 돌이킬 수 없는 후회와 함께 죄책감에 사로잡힌다.     그토록 아기를 갖고 싶어하지만 임신이 불가능한 힐러리, 그녀의 남편과의 관계로 원치 임신을 하게 되는 머시, 그리고 사랑하는 아들을 잃어버려 일상이 뒤엉켜 버린 마거릿, 이들은 씨줄과 날줄이 서로 교직하듯 한동안 서로에 대한 원망과 분노로 만남을 이어간다.   세 여성의 각기 다른 정체성과 관점, 그리고 가족 간의 깨어진 관계들. 모성애의 슬픈 한 구석, 그들의 지친 영혼과 비극 뒤에 찾아오는 용서와 화해. 그러나 이 모든 걸 이전 상태로 되돌려 놓을 수 있다면.   “내 새끼가 애를 낳는다고. 다 괜찮을 거야, 엄마가 있잖아. 이제 애 생각해서 밥도 잘 먹어야 해.”     어머니의 이 한마디에 부서지고 깨어진 머시의 영혼이 위로받는다. 드라마는 그 모든 답 없는 상태의 모성의 오류들에 한국적인 정서로 답을 제시한다. 머시의 어머니는 자신의 딸이 임신한 아이의 아빠가 누구인지 모른다. 그러나 태어날 생명을 축복으로 안아줄 준비에 분주하다.  김정 영화평론가 ckkim22@gmail.com한인 엄마 한인 소설가 여성 마거릿 한인 작가

2024-01-26

[LA 한흑 갈등 영감 작품 낸 한국계 작가 2제] "한·흑을 가르는 것은 모순" 소설가 라이언 이 왕 외'

4.29 폭동을 비롯한 LA의 한인과 흑인 간 갈등에 영감을 받아 예술로 승화시킨 한국계 작가들이 최근 두각을 드러내 화제다. 소설가 라이언 이 왕은 한흑 갈등에 대한 역사적 패턴을 소설로 풀어낸 데뷔작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비주얼 아티스트 라리샤 로저스는 4.29 폭동의 아픔을 오렌지를 이용한 시각적 예술로 선보이는 새로운 시도로 관심을 받고 있다.       ━   "한·흑을 가르는 것은 모순" 소설가 라이언 이 왕     LA타임스는 1일 라이언 이 왕(34.사진) 작가의 작품 '당신은 어느 편에 서 있습니까(Which Side Are You On)'를 소개했다.     지난해 10월 출간된 이 책은 전국을 휩쓴 '흑인 인권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에 전념하기 위해 컬럼비아 대학을 중퇴한 21세 대학생 리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집으로 돌아온 리드와 그의 어머니는 LA 곳곳을 다니며 인종 정의, 역사적 트라우마, 조직화 등에 대한 대화를 나눈다. 한흑 갈등 역사와 아이디어에 대한 인물들 간의 토론으로 진행되는 이 책은 "궁극적으로 어머니와 아들이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이야기다"라고 작가는 설명했다.       5대째 중국계 미국인인 왕 작가의 아버지는 노동조합 변호사였으며 현재 UCLA 노동센터를 이끌고 있고, 한인 이민자인 어머니는 1992년 LA폭동이 일어나기 전 LA 카운티 인간관계 위원회 산하 흑인-한인 연합을 결성하기 위해 일했다.   왕 작가는 "흑인과 아시아인 두 커뮤니티가 더 큰 인종차별 세력에 의해 조종되고 서로 밀쳐지고 있는 반복되는 역사적 패턴을 보았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고 싶었다"고 소설을 쓴 계기를 전했다.     이 소설은 수년에 걸쳐 선과 악에 대한 그의 세계관이 녹아 있다고 왕 작가는 말했다.     그는 "정치적 상황이나 비상사태에 직면했을 때 '당신은 어느 편에 있습니까?'라고 질문한다"며 "하지만 동시에 궁극적으로 누구의 편은 없고 나는 수년에 걸쳐 그 모순을 이해했다"고 말했다.     ━   ‘두순자 사건’을 오렌지로 형상화…비주얼 작가 라리샤 로저스     한흑 혼혈인 비주얼 아티스트 라리샤 로저스의 작품 '우리는 항상 수소처럼, 산소처럼 여기에 있었다(We've Always Been Here, Like Hydrogen, Like Oxygen)'가 샌타애나의 그랜드 센트럴 아트센터에서 오는 11월 11일까지 전시된다.         로저스는 두순자 사건의 발단이 15세 흑인 소녀 라타샤 할린스가 '오렌지 주스'를 훔친 것으로 시작됐다는 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당시 두순자 사건은 로드니킹 구타 사건에 이어 LA 폭동으로 한흑 갈등을 고조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     로저스의 작품은 비디오 영상 2개가 코너의 양쪽 벽에서 각각 상영된다. 이 구조는 관람자가 갇힌 동시에 확장되는 느낌을 준다고 로저스는 설명했다.         한 영상에서 로저스는 오렌지로 몸을 씻고 있고, 다른 영상에서 그는 오렌지 캐스트를 어루만지고 있다. 두 영상은 모두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 있는 아프리카 노예 역사 관련 유적지에서 촬영됐다.    흑인 아버지와 한인 어머니를 둔 로저스는 "오렌지는 흑인 여성과 라티노 여성의 말살을 상징하지만, 동시에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식민화에 의해 아메리카로 건너온 식품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상에서 내가 몸을 씻을 때 오렌지는 녹는다"며 "보살핌과 폭력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고 전했다.     로저스는 라타샤 할린스가 15세 흑인 소녀였고 두순자는 한국 이민자였다는 점을 짚으며 "서로를 이해하는 것과 서로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 사이에는 너무 많은 간격과 구분이 있다"며 "살인에서부터 정의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많은 편견이 일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장수아 기자한국계 갈등 갈등 역사 한인 소설가 라리사 로저스

2022-09-01

한인 소설가 캐나다 ‘독서의 숲’ 어워드 후보 올라

한인 1.5세 작가 허주은(영어명 준) 씨의 소설이 캐나다 온타리오도서관협회(OLA)가 제정한 ‘독서의 숲’ 후보에 올랐다.   4일 OLA 홈페이지에 따르면 허 씨가 쓴 ‘도둑맞은 소녀들의 숲’(The Forest of Stolen Girls)이 캐나다 최대 규모 독서 프로그램인 ‘독서의 숲’의 2022년 화이트 파인 어워드(9∼12학년 대상) 후보에 올랐다.   ‘도둑맞은…’은 소설 부문 최종 후보작 3개 중 하나로 선정됐다. 학생들이 후보작을 직접 읽은 뒤 좋아하는 책에 투표하는 방식이며, 봄에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   소설은 1426년 조선에서 발생한 의문의 실종 사건을 조사하던 아버지가 사라지고, 딸 ‘환이’가 다시 사건을 추적해가는 이야기다. 주인공 환이는 비밀을 파헤치면서 그 해답이 많은 시간 동안 숲에서 일어났던 일이라는 것을 자신의 묻힌 기억 속에서 깨닫는다.   허 씨는 7살 때 아버지와 캐나다에 이민했다가 다시 귀국해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캐나다에 돌아간 1.5세다. 토론토대학에서 역사와 문학을 전공했고, 현재 토론토 도서관에서 파트타임 보조원으로 일하고 있다.   한국 역사서적을 많이 읽었던 그는 이번 소설의 배경이 된 조선 시대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1801년 조선의 천주교 박해 사건인 신유박해를 배경으로 한 영문소설 ‘뼈의 침묵’(The Silence of Bones)을 미국에서 출간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허 씨는 “‘도둑맞은…’이 화이트 파인 어워드 후보에 올라 큰 격려를 받았다”며 “한국의 역사와, 어릴 때부터 읽었던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등의 작품이 이번 소설을 쓰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소설가 캐나다 어워드 후보 한인 소설가 캐나다 온타리오도서관협회

2022-01-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